PC사용기술2014. 3. 4. 21:53

수많은 인터넷사용자들이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사용하고있는가운데, 

빠른반응속도로 각광받는 구글 크롬 (google chrome)은 

검색량이 많은 사람들에게 쌍수를들고 반길만큼 반응이 좋은 웹 브라우저다.

특히나 교류가 많은 블로거들에게는 각광받는 정도가 굉장하다. 왜긴. 신세계니까 그렇지

하지만 마이크로소프트와 구글이라는 차이점같이 설정이 묘하게 다른부분이 있어서 

새로 접하는데 어려움을 가지는 사람들이 더러 있다.

그중 가장 신경쓰이는 부분이기도 한 것이바로 시작화면이다.

자주방문한 페이지순으로 정렬을해서 구글 검색창 밑에 띄워주기때문에 

이쪽으로 익숙해진다면 또 익숙하게 사용할 수도 있지만, 

익스플로러처럼 켜자마자 특정페이지가 열리도록 설정해놓는게 좋다면 아래의 설명과같이 셋팅하면 된다.


1. 웹 주소 입력창 오른쪽 끝에있는 회색 3줄을 클릭한다. 구글 크롬에서는 이게 설정버튼이다.

익스플로러에 익숙한사람들이라면 아래의 버튼과 같은거라고 보면 된다.

이러면 익숙하겠지.



2. 여러개의 설정이 나오는데, 그중에서도 설정(S)를 클릭한다.



3. IE와는 다르게 아예 페이지 전체가 설정창으로 열린다.

위의 이미지에 표시해놓은 부분을 클릭하자.


4. 메인화면 (시작페이지)의 설정이 나온다. 

여기서 자신이 원하는 페이지를 등록해두면 크롬 첫 시작시에 해당 페이지가 열리게된다.

굳이 따로 환경설정을 누르지않아도 즉시 적용되는점 참고.


Posted by akasic
PC사용기술2014. 3. 1. 23:25

필자가 사용하고있을뿐만아니라 한국사람중 대다수가 사용하고있는 영상 재생프로그램.

그것이 곰플레이어다.

많은사람들이 그저 영상만 재생하는데 사용하고있지만, 

영상 재생중에 지나가는 장면을 캡쳐할 수 있다는걸 아는사람들은 그렇게 많지 않은것같다. 

(참고로 말하자면 ctrl + E를 누르면 내문서 하위폴더에있는 gomplayer폴더에 그림파일로 저장된다)

대중은 편리한것만 할줄 안다는걸까..

뭐 그건 그이야기고, 스크린캡쳐를 할줄 아는사람들중에서 화면을 저장했는데 

자막이 사진에 남지 않는문제때문에 고민인사람들을 위한 Tip을 준비해봤다.


이것이 오늘 Tip의 핵심.

F5 또는 화면 오른쪽클릭후 환경설정으로 들어가면 볼 수 있는 화면이다.

여기서 자막표시방법 탭을보면 '이미지 자체에 표시(TV출력)'에 체크가 되어있는데, 디폴트값은 오버레이 화면에 표시다.

이를 사진과같이 체크해주고 다시 캡쳐해보자.

그럼 자막이 함께 그림으로 저장된다.

역으로말하자면 자막이 이미지에 안나오게 하려면 오버레이화면에 표시하면 된다는식.

이런 외진글까지 찾아와서 보는사람들이라면 모를리도 없겠지만, 

영상 자체에 자막이 씌워진 경우에는 해당되지 않는 이야기다.


Posted by akasic
PC사용기술2014. 1. 2. 23:22

사람이름을 만들어낸다는건 참 쉬우면서도 어려운일이다.

친구이름, 친척이름부터 시작해나가자면 몇몇이야 손쉽게 나오겠지만 계속해서 이름을 만들다보면 뭔가 찝찝하기도하고.

뭐 그렇다.


그럴때 사용할수있는 방법으로 몹시좋은게 이름생성기라는 프로그램들이 있다.

인터넷에서 쉽게 찾을수있으니 검색해서 찾아보면 좋겠지만 내가 사용하는 이름생성기는 바로 orient라는 홈페이지다.

주소는 http://orient.pe.kr 이므로 관심있는사람은 들어가보길.



프로그램탭으로 들어가서, 왼쪽에보이는 이름생성기를 클릭하면 아래와같은 페이지가 나온다.

복잡하게 들어가고싶지 않다면 http://orient.pe.kr/namegen 이 링크로 들어가도 된다.

별달리 로그인이 필요하지 않은 기능이기때문에 굳이 회원가입도 필요없으며 사용법도 간단하다.

지역은 국가나 설정 선택이며 한국, 무협, 미국, 그리스, 독일 총5종류의 이름을 랜덤으로 생성한다.


굉장히 인스턴트한 방법으로 생성되기때문에 참 편리하다.



Posted by akasic
PC사용기술2013. 12. 21. 00:30

인터넷상에서 로그인이 안되는이유는 많다.

아이디나 비밀번호를 틀리는 간단한 이유부터 시작해서, 로그인에 관련된 프로그램이 설치되지 않았거나 

인증에 실패하는등등 이유야 무수하다고 할수있겠다.


이번 포스팅으로 작성해본 인터넷 로그인이 안될때의 해결방법은 

로그인과 시간에관련된 원인일경우에 해결할수있는 방법이다.


로그인시에 요청시간등의 "시간"과 관련된문제일경우 우선 윈도우 바탕화면아래의 시계부분을 더블클릭해준다.


더블클릭하게되면 아래와같은 창이 열리는데, 표시된바와같이 인터넷시간을 눌러준다.

체크된부분같이 인터넷시간 서버와 자동으로 동기화를 체크해주고 

지금 업데이트를 눌러줬을때 정상적으로 시간이 맞춰진다면 로그인이 될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


하지만 위 사진과같이 동기화하는 동안 오류가 발생했을경우에는 

가장 간편한방법으로 인터넷시간 동기화 프로그램을 사용해서 해결할수도 있다.



UTCk2 라는 프로그램인데, 첨부해놓은버전은 v2.0이다.

 utck2setup.exe

제대로된 파일이지만 정 믿지 못하겠다면 아래 링크

http://www.kriss.re.kr/2010/standard/12.html

에서 다운로드할수 있다.

아이콘은 아래와같고


설치를 완료하고 프로그램을 실행시켜보면 아래그림과같이 표시가 나오는데,

사용자의 PC와 표준시간의 동기화상태를 볼수있다.

사진과같은경우는 무슨문제인지 실제시간과 꽤 큰 오차가 있는상태.


이상태에서 위 그림과같이 동기를 눌러준다.

가끔 동기명령을 씹어먹기도하지만 몇번 반복하면 위 사진과같이 최종동기시간을 알리는 메시지가 표시되며, 

그자리에 동기화됐다는 텍스트를 볼 수 있다.


이렇게되면 인터넷시간 동기화 완료.


원인이 분명히 인터넷시간의 동기화실패였다면 문제 해결이라고 볼수있겠다.




Posted by akasic